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가슴이 붉은 딱새 오규원 산문집 한 스님이 물었다. "하루 스물네 시간을 어떻게 마음을 써야 합니까?" "그대는 스물네 시간의 부림을 받지만, 나는 스물네 시간을 부릴 수 있다. 그대는 어느 시간을 묻느냐?" - 에서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의 실체를 문헌에서 발견했을 때, 나는 상실감을 맛보지 않을 수 없었다. 실증적인 것만이 최선은 아닌 것. 의 저자 오규원은 강원도 영월 무릉의 도원에 머물면서 이 글들을 썼다. 그리고 그 집 곁으로는 이태백의 시구에 나오는 주천(酒泉)이란 강이 흐른다. 상징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적 행정 구역이 그러하다. 저자는 말한다. "무슨 일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지 않기 위해서 나는 이곳으로 왔다. 그냥 그득할 수 없을까?" 하지만 세속의 일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있.. 더보기
내일은 오늘과 달라야 한다 조안 리 지음 {내일은 오늘과 달라야 한다}를 읽던 중 언뜻 떠오른 화두 하나. '밀레니엄 버그'가 바로 그것. 밀레니엄 버그(2000년 표기 문제)란 컴퓨터가 2000년 들어 연도를 잘못 인식하면서 전산 시스템 상에 대혼란이 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현 시대를 정확하고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 사건이다. 인류는 바야흐로 진보와 혼돈의 갈림길에 서 있는 것이다. 16세기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공포한 그레고리력을 바탕으로 하는 현재의 역법(曆法)은 기독교적인 의미가 강하다. 기독교에서 '밀레니엄(Millennium)'은 정의·평화·번영이 가득한 유토피아적 시대를 의미한다. 그러나 '밀레니엄 버그'가 의미하듯 유토피아는 저절로 인류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핏줄과 같이 미세하게 퍼져 있는, 광역.. 더보기
소설 읽기의 여러 잣대 얼마 전의 일이다. 다소 '덜렁기'가 있는 한 여고생이 독서를 하고 있는 모습이 기특해서 표지를 들추어보았다. {좀머씨 이야기}란 제목이었다. 꽤 유명세를 탔던 작품이다. 그 아이가 그 책을 선택하게 된 계기도 유명세 영향이 클 것이었다. 그러나 좀머씨 이야기는 그 아이에게 어렵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들어 짐짓 물어보았다. 그 아이는 자신만만하게 이야기했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 며칠 후 다시 그 아이에게 물었다. 그 아이는 대답했다. 도대체 뭘 말하려는지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그 아이는 자기의 지적 수준이 많이 모자란 까닭이라며 자책을 했다. 내용을 소화하지 못한 이유가 지적 소양의 부족 때문인가, 아니면 인생 경험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인가? 이러한 경우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 더보기
동학 단상 ----------- 東學 斷想 ----------- 안으로만 울음을 삭인 금강 피는 피를 부르고 외세는 외세를 불렀다. 피의 광주, 그날 순이는 울었다. 혁명을 일깨워 준 야학교사는 끝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피의 우금티 잘리운 손목에서 여직 피는 흘러내렸다. 진달래보다 붉은 선홍빛. 적의 가슴에 채 닿지못한 죽창이 파르르 파르르 곰나루 강변 벌거벗은 왜병들은 성기에 묻은 핏자국을 헤아리고 있었다. 그것은 조선 처녀의 영혼 빼앗긴 것은 조선 처녀의 그것만이 아니었다. 터벅머리 농투산이는 안타깝게 말했다 [지금이 때입니다. 入京해야 합니다. 權貴를 축멸해야 합니다.] 전봉준은 단호하게 맞섰다. [때를 기다립시다] 농투산이는 하늘이 노랗게 보였다. 몰락해도 양반은 양반 농민군의 자식은 아직도 농민........ 더보기
“논술, 훈련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다” 2007 05/29   뉴스메이커 726호 도담국어 대표, 생활속 논술적 사고 강조“개인의 잠재적 역량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인 논술교육은 학생 개개인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한다” 고 말하는 심재철 원장. 최근 교육부는 ‘논술교육 내실화 방안’을 내놓았다. 2009년부터 초등학교 1·2년생과 중학교 1학년생들에게 논술을 교육하고, 현재 방과 후 학교에서만 진행하던 논술교육을 정규교육으로 편입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사립대학이 2008년도 대학입시에서 통합형 논술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자, 지난해 수능이 끝난 직후 서울 강남 학원가에는 유명 논술학원의 강의를 들으려는 지방학생들이 대거 상경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논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근본적인 교육의 목표와 같은.. 더보기